개체 제거

  1. 레이어 패널에서 제거할 얼룩 또는 작은 개체가 포함된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2. 툴 패널에서 스팟 복구 브러시 툴을 선택합니다.
  3. 옵션 막대에서 스팟 복구 브러시 툴의 크기와 경도를 조정하여 제거할 항목에 맞게 설정합니다.
  4. 얼룩을 클릭하거나 제거할 개체를 드래그합니다. 


복제 도장 툴을 사용하여 개체 추가

  1. 레이어 패널에서 이미지에서 복사하고 사용하려는 콘텐츠가 포함된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2.  패널에서 복제 도장 툴을 선택합니다.
  3. 옵션 막대에서 복제 도장 툴의 크기와 경도를 조정하여 복제할 개체에 맞게 설정합니다.
  4. Alt 키(Windows) 또는 Option 키(macOS)를 누른 상태에서 콘텐츠를 복사할 이미지의 영역을 클릭합니다.
  5. Alt(Option) 키를 누른 상태에서 콘텐츠를 복사할 새로운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드래그하는 동안 복제 도장 툴이 소스의 콘텐츠를 복사하고 새로운 영역에 칠합니다.





내용 인식 채우기를 사용하여 개체 제거

  1. 레이어 패널에서 제거할 큰 개체나 사람이 포함된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2. 선택 툴을 선택하고 개체를 선택합니다. 개체 주위에 있는 배경을 약간 포함해야 합니다.
  3. 메뉴 막대에서 편집 > 칠을 선택합니다.
  4.  대화 상자에 있는 내용 메뉴에서 내용 인식을 선택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선택 영역이 보기에서 불필요한 콘텐츠를 숨기면서 배경과 일치하는 콘텐츠로 채워집니다.
  5.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내용 인식 채우기를 다시 적용해 보십시오. 각 시도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브러시 팁이 있는 툴 사용

  1.  패널에서 브러시 툴을 선택합니다.
  2. 옵션 막대에서 브러시의 크기와 경도를 변경합니다. 또한 다양한 브러시 팁을 선택하여 브러시 획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브러시 크기를 키우는 또 다른 방법은 오른쪽 대괄호 키를 여러 번 누르는 것입니다.
  4. 브러시 크기를 줄이려면 왼쪽 대괄호 키를 여러 번 누릅니다.
  • 브러시 툴, 모양 툴, 문자 툴 등 색상이 적용되는 툴을 사용하면  패널 하단에 있는 전경색 상자에 있는 색상이 적용됩니다.
  • 전경색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스포이드 툴을 선택하고 이미지에서 색상을 추출하거나 색상 피커색상 패널 또는 색상 견본 패널을 사용합니다.
  • 전경색 상자 뒤에 배경색 상자가 있으며, 여기에 또 다른 색상을 보관할 수 있습니다.
  • 전경색 상자와 배경색 상자를 전환하여 다른 색상을 신속하게 이용하려면 두 색상 상자 위에 있는 이중 화살표를 클릭하거나 X 키를 누릅니다.



색상 피커 사용
  1.  패널 하단에 있는 전경색 상자를 클릭하여 색상 피커를 엽니다.

    옵션 1: 색상 피커에서 세로 슬라이더를 드래그하여 색조(색상)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큰 색상 상자에서 한 지점을 클릭하여 해당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선택합니다.

    옵션 2: HSB, RGB, CMYK 또는 16진수 색상 필드에 필요한 색상 값을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옵션 3: 색상 피커가 열린 상태에서 열린 이미지에 마우스를 가져갑니다. 그러면 커서가 스포이드로 바뀝니다. 이미지에서 아무 데나 원하는 영역을 클릭하여 커서 아래의 색상을 추출합니다.

  2. 확인을 클릭하여 색상 피커를 닫습니다. 선택한 색상이 툴 패널 하단에 있는 전경색 상자에 표시되며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색상 패널 사용

  • 화면에 색상 패널이 보이지 않으면 메뉴 막대에서 창 > 색상을 선택합니다.
  • 색상 패널은 작은 색상 피커와 같으며 슬라이더에서 색조를 선택한 다음 색상 상자에서 명도와 채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색상은 툴 패널에 있는 전경색 상자에서 표시됩니다.
  • 색상 패널은 색상 피커만큼 많은 옵션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이 패널의 장점은 화면에 열어 둘 수 있으므로 빠르게 액세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색상 견본 패널에 있는 사전 설정 색상 견본에서 색상 선택

  1. 화면에 색상 견본 패널이 보이지 않으면 메뉴 막대에서 창 > 색상 견본을 선택합니다.
  2. 색상 견본 패널에서 색상 견본(색상이 포함된 사각형)을 클릭하여 전경색을 선택한 견본 색상으로 변경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선택 영역 만들기 및 선택된 영역만 조정하기

선택 영역은 이미지의 일부분을 격리하므로 이미지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영역에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1.  패널에서 사각형 선택 윤곽 툴을 선택합니다. 이미지 위에서 사각형 선택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움직이는 테두리 속의 영역은 선택 영역을 나타냅니다.
  2. 더 많은 영역을 선택하려면 옵션 막대에서 선택 영역에 추가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합니다. 선택한 영역을 제외하려면 옵션 막대에서 선택 영역에서 빼기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Alt(Windows) 또는 Option(macOS) 키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합니다.
  3. 조정할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몇 가지 조정(이미지 > 조정)을 적용해 봅니다. 선택 영역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조정 내용은 해당 레이어의 선택된 영역에만 적용됩니다. 필터, 페인트, 칠, 복사 또는 다른 편집을 적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4. 완료하면 선택 > 선택 해제를 선택하거나 Ctrl+D(Windows) 또는 Command+D(macOS)를 눌러 선택을 해제합니다. 




빠른 선택 툴 사용

  1.  패널에서 빠른 선택 툴을 선택합니다.
  2. 선택할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이 툴은 이미지 가장자리를 찾으려고 하며 선택 영역이 만들어지면 자동으로 멈춥니다.
  3. 처음 선택한 다음에는 이 툴이 선택 영역에 추가 옵션으로 자동 전환됩니다. 더 많은 영역을 선택하려면 다른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4. 선택한 영역을 제외하려면 선택 영역에서 제거할 영역을 드래그하는 동안 Alt 키(Windows) 또는 Option 키(macOS)를 누릅니다.
  5. 옵션 막대에서 빠른 선택 툴의 크기와 경도를 조정하여 다양하게 실험해 보십시오.


올가미 툴 사용

  1.  패널에서 올가미 툴을 선택합니다. 이 툴은 다른 툴로 시작한 선택 영역을 정리할 때 유용합니다.
  2. 다른 툴로 만든 선택 영역에 추가하려면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추가할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3. 선택 영역에서 제외하려면 옵션 막대에서 선택 영역에서 빼기 옵션을 선택하거나 Alt(Windows) 또는 Option(macOS)을 누른 상태에서 제거할 영역을 드래그합니다.
  4. Ctrl+D(Windows) 또는 Command+D(macOS)를 눌러 선택 해제합니다.

선택 영역 향상
  1. 빠른 선택 툴과 같은 선택 툴을 사용하여 선택 영역을 만듭니다.
  2. 옵션 막대에서 선택 및 마스크를 클릭하여 선택 및 마스크 작업 영역을 엽니다.
  3. 선택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보려면 작업 영역 오른쪽에 있는 보기 메뉴에서 오버레이와 같은 보기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오버레이 보기에서 기본적으로 선택된 영역은 선명하고 선택되지 않은 영역은 반투명한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4.  패널에서 브러시 툴을 선택합니다. 이미지에서 선택된 영역에 추가할 부분을 칠합니다. 선택된 영역에서 제외하려면 Alt(Windows) 또는 Option(macOS)을 누른 상태에서 제거할 영역을 칠합니다.
  5. 작업 영역 오른쪽에서 출력 설정 > 출력 위치 메뉴로 내려가 출력 유형으로 선택을 선택합니다.
  6. 확인을 클릭하여 선택 및 마스크 작업 영역을 닫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 확인 및 선택

  • 레이어에는 이미지, 텍스트 또는 개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레이어는 파일을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한 레이어의 콘텐츠를 이동, 편집 및 작업할 수 있는데, 이때 다른 레이어의 콘텐츠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작업 영역 오른쪽 하단에 있는 레이어 패널에서 스택으로 정렬됩니다. 레이어 패널이 보이지 않으면 창 >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 왼쪽에 있는 눈 아이콘을 클릭하여 콘텐츠를 숨깁니다. 동일한 지점을 다시 클릭하여 콘텐츠를 표시합니다. 이는 특정 레이어에 있는 콘텐츠를 확인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 레이어를 변경하려면 레이어가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 이름의 오른쪽을 한 번 클릭하여 해당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선택 항목에 레이어를 더 추가하려면 Ctrl(Windows) 또는 Command(macOS)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레이어를 클릭합니다.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를 사용하여 작업

  •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를 위아래로 드래그하여 이미지에서 레이어로 구성된 개체의 순서를 변경합니다.
  • 레이어 패널 하단에 있는 새 레이어 만들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 레이어를 만듭니다. 이 레이어는 콘텐츠가 추가될 때까지 투명한 상태입니다.
  • 레이어의 이름을 변경하려면 현재 레이어 이름을 두 번 클릭합니다. 레이어에 사용할 새 이름을 입력합니다. Enter(Windows) 또는 Return(macOS)을 누릅니다.
  • 레이어의 불투명도를 변경하려면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를 선택하고 레이어 패널 상단에 있는 불투명도 슬라이더를 드래그하여 레이어의 투명도를 높이거나 낮춥니다.
  • 레이어를 삭제하려면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를 선택하고 Backspace(Windows) 또는 Delete(macOS)를 누릅니다.

레이어 크기 조정

  1. 레이어 패널에서 크기를 조정하려는 이미지 또는 개체가 포함된 레이어를 하나 이상 선택합니다.
  2. 편집 > 자유 변형을 선택합니다. 변형 테두리가 선택된 레이어의 모든 콘텐츠 주변에 표시됩니다. 콘텐츠가 왜곡되지 않도록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원하는 크기가 될 때까지 모퉁이나 테두리를 드래그합니다. 변형 테두리 안을 드래그하여 콘텐츠를 이미지 주변으로 옮깁니다. 변형 테두리 밖을 드래그하여 콘텐츠를 회전시킵니다.
  3. 옵션 막대에 있는 체크 표시를 클릭하거나 Enter(Windows) 또는 Return(macOS)을 눌러 변경 내용을 마무리합니다.

 디자인에 이미지 추가

  1. 파일 > 포함 가져오기를 선택하고 파일 탐색기(Windows) 또는 Finder(macOS)에서 이미지 파일을 찾고 가져오기를 클릭합니다.
  2.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도록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이미지 테두리의 모퉁이를 드래그하여 추가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3. 테두리 안을 드래그하여 추가된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에 놓습니다.
  4. 옵션 막대에 있는 체크 표시를 클릭하여 배치를 완료합니다. 그러면 추가된 이미지가 포함된 새로운 레이어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배경 레이어를 일반 레이어로 변환

  • 배경 레이어는 잠겨 있으므로 문서 창에서 이동하거나 레이어 패널에서 순서를 변경할 수 없고 일부 편집 기능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 배경 레이어를 일반 레이어로 변경하려면 레이어 패널에서 레이어 이름 오른쪽에 있는 잠금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명도 및 대비 조정

  1. 메뉴 막대에서 이미지 > 조정 > 명도/대비를 선택합니다.
  2. 명도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전반적인 이미지 명도를 변경합니다. 대비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이미지 대비를 높이거나 낮춥니다.
  3. 확인을 클릭합니다. 조정 내용은 선택된 레이어에서만 표시됩니다.


활기 조정

  1. 메뉴 막대에서 이미지 > 조정 > 활기를 선택합니다.
  2.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다양하게 실험해 보십시오. 활기 슬라이더는 색상 강도에 영향을 줍니다. 이미지의 연한 색상에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채도 슬라이더는 이미지에서 모든 색상 강도를 높입니다.
  3. 완료하면 확인을 누릅니다. 


색조 및 채도 조정

  1. 메뉴 막대에서 이미지 > 조정 > 색조/채도를 선택합니다.
  2. 색조, 채도 및 밝기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다양하게 실험해 보십시오. 변경 내용은 이미지의 모든 색상에 적용됩니다. 색조 슬라이더는 이미지의 색상을 변경합니다. 채도 슬라이더는 이미지의 색상 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밝기 슬라이더는 이미지의 색상 밝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3. 이러한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특정 색상에만 영향을 미치려면, 먼저 색조/채도 대화 상자의 왼쪽 상단에 있는 드롭다운 메뉴로 이동하고 노랑 계열과 같은 색상 범위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색조, 채도 및 밝기 슬라이더를 조정합니다. 이 변경 내용은 해당 색상이 이미지에 표시되는 곳이 어디건 선택된 색상 범위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4. 완료하면 확인을 누릅니다. 


조정 레이어 추가

조정 레이어를 사용하면 유연한 추가 편집이 가능합니다. 이전에 만든 이미지 조정 내용을 다시 편집할 수 있으며, 직접 변경하지 않으므로 원본 이미지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흑백 조정 레이어를 사용해 보면서 조정 레이어 작동 방식을 경험해 보십시오. 

  1. 레이어 패널에서 조정 시 영향을 미칠 이미지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2. 레이어 패널 하단으로 이동하고 새 칠 또는 조정 레이어 만들기 아이콘을 클릭한 다음 드롭다운 메뉴에서 흑백을 선택합니다. 새 조정 레이어가 레이어 패널에서 선택된 이미지 레이어 위에 표시됩니다. 조정 레이어는 해당 조정 레이어의 아래에 있는 레이어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속성 패널이 자동으로 열리면서 이 조정에 대한 컨트롤이 표시됩니다. 다양한 유형의 조정 레이어가 속성 패널에서 다양한 컨트롤을 제공합니다.

  3. 레이어 패널에서 선택된 흑백 조정 레이어를 사용하여 속성 패널에서 컨트롤을 조정하여 이미지의 컬러를 흑백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자 정의합니다.
  4.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다양하게 실험해 보십시오. 완료하면 속성 패널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이중 화살표를 클릭하여 해당 패널을 닫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이미지 열기 및 만들기

  • 메뉴 막대에서 파일 > 열기를 선택하여 기존에 저장된 이미지를 엽니다.
  • 메뉴 막대에서 파일 > 새로 만들기를 선택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처음부터 만듭니다. 문서 사전 설정을 선택합니다. 폭과 높이 등 원하는 값을 입력하여 사전 설정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

  • 메뉴 막대(맨 위에 위치)는 파일, 편집, 이미지 등 여러 메뉴가 있으며 다양한 명령, 조정 및 패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옵션 막대(메뉴 막대 바로 아래에 위치)에는 현재 사용 중인 툴의 옵션이 표시됩니다.
  • 툴 패널(왼쪽에 위치)에는 이미지를 편집하고 아트웍을 만들기 위한 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사한 툴들이 함께 모여 있습니다. 패널에서 툴을 클릭하고 길게 누르면 한 그룹에 포함된 연관된 툴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패널(오른쪽에 위치)에는 색상, 레이어, 속성 등 여러 패널이 있으며 이미지를 사용하여 작업하기 위한 다양한 컨트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창 메뉴에서 패널의 전체 목록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문서 창(중앙에 위치)에는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이 표시됩니다. 여러 개의 문서를 열면 문서 창에서 탭으로 나타납니다.
  • 이미지를 닫으려면 파일 > 닫기를 선택합니다.



확대/축소 및 패닝

  • 돋보기 툴은 툴 패널에 있습니다. 옵션 막대에서 확대를 축소로 변경합니다.
  • 마찬가지로 툴 패널에 있는 손 툴을 사용하여 크거나 확대된 이미지 주변을 패닝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실행 취소

  • 마지막으로 한 작업을 실행 취소하려면 편집 > 실행 취소를 선택하거나 Ctrl+Z(Windows) 또는 Command+Z(macOS)를 누릅니다.
  • 마지막으로 한 작업을 다시 실행하려면 편집 > 다시 실행을 선택하거나 다시 Ctrl+Z(Windows) 또는 Command+Z(macOS)를 누릅니다.
  • 여러 단계를 실행 취소하려면 편집 > 이전 단계를 여러 번 선택하거나 작업 내역 패널에서 단계를 선택합니다.




이미지 저장

  • 파일 > 저장 또는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
  • Photoshop 형식(.psd)으로 저장하면 레이어, 문자 및 다른 편집 가능한 Photoshop 속성이 유지됩니다. 작업하는 동안에는 PSD 형식으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JPEG(.jpg) 또는 PNG(.png) 형식으로 저장하면 공유할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열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게시할 수 있는 표준 이미지 파일로 저장됩니다. 편집을 완료하면 이러한 형식 중 하나로 사본을 저장합니다.

이미지 크기 조정

  1. 이미지 > 이미지 크기를 선택합니다.
  2. 이미지의 폭과 높이는 온라인에서 사용할 경우 픽셀로 측정하고 인쇄할 이미지의 경우 인치(또는 센티미터)로 측정합니다. 연결 아이콘을 강조 표시하여 비율을 유지합니다. 그러면 폭을 변경할 때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3. 리샘플링을 선택하여 이미지의 픽셀 수를 변경합니다. 이는 이미지 크기를 변경합니다.
  4.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해상도 변경

  1. 이미지 > 이미지 크기를 선택합니다. 이 대화 상자에서 해상도는 이미지가 인쇄될 때 인치당 할당되는 이미지 픽셀 수를 의미합니다.
  2. 인쇄를 위해 폭과 높이를 인치 단위 그대로 설정합니다.
  3. 리샘플링을 선택 해제하여 이미지 픽셀의 원래 수를 유지합니다.
  4. 해상도 필드에서 일반적인 데스크탑 잉크젯 프린터에서 인쇄하기 위해 인치당 픽셀 수를 300으로 설정합니다. 그러면 폭과 높이 필드에서 인치 수가 변경됩니다.
  5.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자르기 및 똑바르게 하기

  1. 툴 패널에서 자르기 툴을 선택합니다. 자르기 테두리가 표시됩니다.
  2. 가장자리나 모퉁이를 드래그하여 자르기 테두리의 크기와 모양을 조정합니다.
  3. 자르기 테두리 안을 드래그하여 자르기 테두리 안에 있는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합니다.
  4. 자르기 테두리의 모퉁이 밖을 드래그하여 회전시키거나 똑바르게 합니다.
  5. 옵션 막대에서 체크 표시를 클릭하거나 Enter(Windows) 또는 Return(macOS)을 눌러 자르기를 완료합니다.



캔버스 크기 변경

  1. 이미지 > 캔버스 크기를 선택합니다.
  2. 캔버스를 추가하려면 추가할 폭과 높이의 수치를 입력합니다. 온라인에서 사용하려면 폭과 높이를 픽셀 단위로 설정하고 인쇄하려면 인치로 설정합니다.
  3. 상대치를 선택한 다음 캔버스 다이어그램에서 기준점을 선택합니다. 화살표는 캔버스가 추가될 면을 가리킵니다.
  4. 확인을 클릭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유튜브 시작할 때 쓰면 괜찮은 카메라



많은 사람이 처음 카메라를 구매할 때 겪는 난제가 있습니다. 오래 사용할 수 있고 동영상 촬영도 훌륭한 카메라를 원하지만, 돈은 200만원 밖에 없는 거죠. 활동 영역을 넓히려는 가난한 예술가든 단지 새로운 취미를 찾는 사람이든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여기서 완벽한 카메라를 찾을 수 있으니까요!

제 첫 번째 카메라는 80만원 쯤 주고 구매한 캐논 60D였습니다. 영화 촬영의 기본은 이 카메라로 배웠고 결국 카메라를 업그레이드 할 때까지 생계 수단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합리적 가격대의 DSLR과 미러리스 카메라 르네상스 때문에 좋은 카메라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국집 배달로 번 돈을 저금한 돼지저금통이 가진 돈의 전부라고 해도 말이죠. 이 말은 저에게만 해당되기는 하지만, 여러분을 아름다운 영화 촬영의 세계로 인도해줄 카메라 7 가지를 알려드립니다.


1. 캐논 70D

이미지: 캐논 공식 홈페이지

캐논은 보통 사람들이 카메라를 처음 구매하려고 할 때 첫 번째로 떠올리는 브랜드입니다. 캐논은 누구나 알고 있는 이름이며 70D는 캐논의 대표 카메라 중의 하나입니다. 매우 효과적인 자동초점 기능과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때문에 영화 촬영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완벽한 카메라입니다.

사양:

  • 20.2 MP APS-C CMOS 센서와 DIGIC 5+
  • 19포인트 자동 선택 AF
  • 최대 7 fps 촬영
  • ISO 100-12800, 25600 상당으로 확장
  • 라이브 뷰와 비디오에서 빠른 초점을 위한 듀얼 픽셀 CMOS AF 시스템
  • 약 7.7cm의 104만 화소의 LCD 터치패널
  • 내장된 플래시와 통합형 스피드라이트 데이터전송기, 핫슈
  • 전자식 오버레이의 인텔리전트 뷰파인더
  • 1080 (30, 25, 24 fps)와 720 (60, 50 fps) HD 비디오 (H.264/MPEG-4/MOV)

가격: $799.99 (미국 기준) / 839,010원 (본체 + 18-55mm IS STM, 네이버 쇼핑 최저가 기준)

2. 블랙매직 포켓 시네마

이미지: 블랙매직 디자인

오랫동안 이 카메라가 성공하기만을 기다려 왔다 해도 블랙매직 포켓 시네마 카메라는 여전히 사진 촬영에는 흥미가 없고 비디오 촬영을 주로 하는 사람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카메라입니다. 이 작은 괴물은 엄청난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RAW와 Apple Pro Res로 촬영가능하기 때문이죠. RAW로 촬영하는게 뭔지 모른다면 RAW는 후반 편집 작업 때 더 다양하게 색상을 수정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이 카메라는 또한 (제 기준에서) 가장 뛰어난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블랙매직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합리적인 가격대에서 영화 같은 퀄리티의 카메라를 찾고 있다면 이 카메라가 최고의 선택입니다.

유감스럽게도 이 카메라는 렌즈가 딸려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20만원 이하로 구매할 수 있는 렌즈는 널려있습니다.

사양:

  • 슈퍼 16mm 사이즈의 이미지 센서
  • 액티브 마이크로 포서드 렌즈 마운트
  • 13 스톱 다이나믹 레인지
  • Full HD 1920×1080 CinemaDNG RAW 저장
  • 220 Mbps 속도의 Apple ProRes 422 (HQ)
  • 휴대용 디자인 (길이 5인치 및 12.5 oz)
  • 800×480 해상도의 3.5인치 LCD 디스플레이
  • SDXC와 SDHC 메모리 카드 사용
  • EN-EL20 호환 충천식 배터리
  • HDMI, LANC, 3.5mm 오디오 입력 및 출력

가격: $995 (미국 기준)

3. 파나소닉 루믹스 GH4

이미지: 파나소닉

파나소닉의 주요 카메라 중 하나인 GH4는 초보자와 준전문가에게 좋습니다. 이 카메라는 이 리스트에서 몇 안되는 $1000 이하의 4K 카메라이고 이 사실이 카메라의 가치를 10배 더 높입니다. 제가 GH4를 사용하여 작업할때마다 좋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습니다.

사양:

  • 영화같은 4K 동영상 촬영 (4096×2160) 그리고 4K QFHD 동영상 (3840×2160)
  • 우수한 물결무늬 억제 기능으로 디테일한 이미지 제작
  • 빠른 속도, 49개 영역의 오토 포커싱, 하이브리드 카메라로 완벽함
  • 견고한 마그네슘 합금 바디와 탁월한 셔터 수명

가격(카메라 바디): $995 (미국 기준) / 1,398,000원 (파나소닉 공식 온라인스토어 기준)

4. 후지필름 X-T1

이미지: 후지필름

후지필름은 아마도 디지털 카메라를 생각했을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후지필름은 그 명성에 맞게 적당한 가격대의 카메라군에서 자신들의 길을 개척해왔습니다. 적당한 가격대의 카메라 사이에서 X-T1은 훌륭한 B급 카메라를 찾는 검소한 영화 제작자들에게서 조용히 1순위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카메라는 18-55mm 렌즈를 포함하고 있어 클로즈 샷과 와이드 샷을 마스터 하려는 사람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사양:

  • 16.3MP APS-C X-Trans CMOS II 센서
  • EXR 프로세서 II
  • 0.5인치 약 236만화소 0.77x OLED 컬러 뷰파인더
  • 3.0인치 약 104만화소 틸트식 LCD 모니터
  • Full HD 1080p 동영상 촬영 (60 fps)
  • 내장형 와이파이 연결
  • 내후성 바디 구조
  • 8.0 fps 까지 연속 촬영
  • EF-X8 슈 마운트 플래시 포함
  • 후지논 XF18-55mm f/2.8-4 R LM OIS 렌즈

가격: $899 (미국 기준) / 1,462,600원 (네이버 쇼핑 최저가 기준)

5. 소니 A6300

이미지: 소니

뼛속깊이 소니의 팬으로써 어쩌면 편견일 수도 있지만 소니의 알파 시리즈는 이 분야에서 최고의 미러리스 카메라 몇 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니 A6300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 이 시리즈의 다른 카메라들과 비교하면 어쩌면 낮은급일 수 있지만 A6300은 고유 분야가 있습니다. A6300의 가장 뛰어난 기능 중 하나는 24MP 센서와 놀라운 저조도 성능입니다. 조명 장비 없이 계속 활동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이 카메라를 추천합니다.

사양:

  • 24.2MP APS-C Exmor CMOS 센서
  • BIONZ X 이미지 프로세서
  • XGA Tru-Finder 236만 화소 OLED EVF
  • 3.0인치 921,600 화소 틸트식 LCD 모니터
  • 내장형 UHD 4K30 & 1080p120 저장
  • S-Log3 감마 및 디스플레이 보조 기능
  • 내장형 와이파이 NFC 지원
  • 4D FOCUS 기능 425개의 위상 검출 AF 포인트
  • 최대 11fps 촬영 및 ISO 51200
  • 소니 16-50mm f/3.5-5.6 OSS 줌 렌즈

가격: $999 (미국 기준) / 948,030원 (네이버 쇼핑 최저가 기준)

6. 후지필름 X-T20

이미지: 후지

또 다른 후지 디지털 라인의 멤버로 X-T20은 몇가지 인상적인 기능을 갖춘 X-T1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4K 기능과 터치 조작 가능한 LCD 스크린, 그리고 a 16-50mm 렌즈가 포함되어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 그룹에서 안성맞춤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게 적당합니다.

사양:

  • 센서: 24 MP APS-C X-Trans III CMOS
  • 렌즈 시스템: X-mount
  • 내후성: 불가
  • 내부 안정화 : 없음
  • 자동 초점: 최대 325 포인트의 하이브리드 (7×13 및 13×25 격자 선택 가능)
  • 연속 촬영 : 전자 셔터 (AF-S 및 AF-C)로 최대 8fps 및 5fps, 최대 14fps
  • ISO 감도: 200 – 12800 ISO (최소 100, 최대 25600 에서 51200)
  • 셔터 스피드: 1/4000 에서 30초, 전자 셔터로 최대 1/32000s
  • 뷰파인더: 0.39 인치 약 236만 화소 OLED . 뷰파인더 촬영 대비 시야율 100%, 17.5mm 아이포인트, 0.62배 배율 및 54fps 새로 고침
  • 후면 모니터: 틸트식 3인치 터치 LCD(104만 화소)
  • 동영상 촬영: 최대 30fps 4K, 최대 60fps Full HD

가격: $999 (미국 기준) / 1,099,000원 (공식 후지필름몰 기준)

7. 캐논 7D

이미지: 캐논

캐논 EF 렌즈를 어댑터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가격대의 카메라를 찾는다면 이 카메라가 딱 입니다. 7D Mark II 판매 이후로 이 카메라 가격은 급격히 떨어졌지만 여전히 비디오를 촬영하기에 훌륭합니다. 1080p로만 촬영할 수 있지만 EF 렌즈로 촬영했을 때 이 카메라의 위력은 대단합니다.

사양:

  • 18MP APS-C CMOS 센서
  • 초당 8장 연속 촬영
  • 수동 제어 기능이 있는1080p HD 동영상 촬영
  • 3.0 인치 92만 화소의 Clear View II LCD 스크린
  • 19포인트 AF 시스템 (모두 크로스 타입)
  • 100 % 뷰 파인더 적용 범위
  • 63 구역 계량 시스템
  • 내장형 무선 플래시 제어
  • 고화질 및 고속 처리를 위한 18.0 메가픽셀 CMOS 센서 및 듀얼 DIGIC 4 이미지 프로세서

가격(카메라 바디): $850 (미국 기준) / 434,550원 (네이버 쇼핑 최저가 기준)


8. 지금 쓰고 있는 휴대폰!

가장 저렴하면서 편리한 도구! 여기에 휴대폰용 짐벌만 장만한다면 가장 가성비 좋게 유튜브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유튜브 컨텐츠 기획 단계

  1. 소재 설정

소재 설정은 너무나 중요함. 소재에 따라서 컨텐츠 유형이 바뀌고 전략이 극과 극으로 바뀌기 때문.

소재 선택에 있어 고려해야만 하는 부분들을 알아보자

(1) 해당 소재에 대한 본인의 흥미

  • 굉장히 중요함. 영상 10개 만들고 지쳐 쓰러질만한 소재 말고 평소 관심이 충분히 있고 즐길수 있어야 함.

이슈채널이 쉬워보이지만, 해당 이슈에 대한 관심이 없다면 이어가기 힘들다. 유튜브 활동의 지속성을 결정하는 부분

(2) 해당 소재의 주요 타겟층

  • 어떻게보면 주요 고객들을 조사하는 것. 예를들어 마크, 클래시 로얄등의 게임은 어린 연령층이 주되고,

코인 차트 분석이나 낚시 방송? 이런건 30대 이상이 볼 수 밖에 없다.

타겟층이 파악됬으면, 본인이 그 타겟층과 충분히 소통할 수 있을만한 사람이 되는지 점검해보자.

제일 좋은 것은 본인의 나이와 주요 타겟층의 연령대가 겹치는 것!

(3) 해당 소재를 다루는 채널의 중복여부

  • 사실 이것은 블루오션에 뛰어드냐, 레드오션에 뛰어드냐의 차이.

① 이미 있는 소재로 시작할 것이라면, 기존 유튜버들과 확연한 차별점을 두어야함.

기존 유튜버들만큼 실력이 있으면서 차별점이 사소해도 확실하다면 개척돼있는 시장이기 때문에 금방 커질 수 있다!

② 아직 없는 소재로 시작할 것이라면, 왜 아무도 안했는지 다시 점검해보자.

몇번 점검해봐도 먹힐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면 당장 시작. 그러나 해당 소재로 유튜브에서 노출되어 구독자가 오르려면 오래걸릴수밖에 없음을 명심하자.

  1. 비용 책정

자금이 들어가지 않는 사업은 없다.

유튜브가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거라 볼 수 있지만 엄연한 노동의 댓가이다.

(1) 인건비

해당 영상이 노동 대비 수입을 가져다 줄수 있는지 점검해보자.

조회수로 계산하는 수입은 정확하지 않지만, 1:1 정도로 대충 계산하기로 하자. 사실 얼추 비슷함.

즉, 영상을 제작하는 나의 노력이 하루를 초과하는데, 5만뷰 이상을 뽑을 수 없는 영상이라 생각되면 기획을 과감히 포기하길 바람.

채널이 작을때 5만뷰가 나오지 않는 것은 당연하지만, 채널이 커지면 기존 영상 조회수도 올라 5만은 충분히 찍을 수 있다.

향후 1년 내의 최대치가 5만 이하일 것 같다면 접으라는 뜻 !

유튜브한테 무상노동 해주지 말자

(2) 자재비

소프트웨어 비용, 카메라, 마이크 등. 본인이 할 소재에 따라 필요한 장비가 달라진다.

투자의 개념으로 쏟는 건 맞지만, 투자비용을 회수할수 있을 법한 범위로 잡자.

처음부터 너무 많은 장비를 활용하면 금방 지치게 된다.

예를 들어, 리뷰 영상을 제작하기 위하여 마이크가 필요하다면 꿈에 부풀어 컨덴서 마이크를 구비하기 보다는 저가용 마이크로 시작하자.

투지비용이 크다면 큰 만큼 실망또한 클 수 밖에 없다.

(3) 수익 창출 가능까지의 기간

현재 유튜브 수익 창출의 조건이 굉장히 높아졌다. 시청시간 4000시간과 구독자 1000.

즉 바로 유튜브 컨텐츠 제작에 뛰어든다 해도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단 한 푼도 받을 수 없다.

본인의 채널을 조건을 만족시킬만큼 키우는게 얼마나 걸릴지, 그동안 버틸 수 있을지 심각하게 고민해보자.

  1. 세부 컨텐츠 계획

위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고 점검한 소재를 잘 정했다면,

그 소재를 어떻게 요리할 것인지 고민해봐야 한다.

세부 컨텐츠는 소재의 유형에 따라 크게 다르니, 알아서 정하도록하고

컨텐츠 제작 결과에 따라 달라지는 채널의 유형을 구분하여 계획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설명하도록 하겠음

(1) 조회수의 최저치는 낮지만, 최대치가 높은 유형

이슈 채널, 어그로성 채널이 여기 속한다.

구독자는 1만인데, 대부분의 영상이 1천~ 3천. 몇개는 조회수가 100만을 웃도는 채널들.

이런 형태의 채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의 신속성이다.

때문에 이슈가 뜨면 재빠르게 편집하여 올릴만큼의 정보획득에 대한 숙련도가 있어야 함.

영상의 퀄리티는 그닥 중요하지 않다.

사실상 인터넷 언론사와 다를 바가 없다. 본인이 1인 언론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됨.

이런 유형의 채널은 수입의 편차가 크다는게 장점이자 단점

(2) 조회수의 최대치는 낮지만, 최소치가 높은 유형

보통 게임 스트리머, BJ등이 이 곳에 포함된다.

구독자가 10만이고, 대부분의 영상 조회수가 10만.

영상의 주요 타겟층이 불특정다수가 아닌, 구독자라는 특정다수에 포진되어 있다.

타겟층이 확실하기 때문에 컨텐츠 제작이 용이하고, 소통또한 활발히 되므로 상당히 메리트가 있다.

수입의 변동이 크진 않지만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채널이 되기 위해선 단순한 영상을 통한 구독자 확보가 아니라

유튜버 개인에 대한 팬들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장이 더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조회수의 최소치도 높고 최대치도 높은 유형

둘다 높은게 어딨어? 라고 생각하겠지만 ...

저연령층을 공략하고, 성공한 채널들이 해당된다.

장난감 리뷰, 혹은 마인크래프트, 상어가족노래 등.

저연령층의 유튜브 집착은 생각하는 것보다 심각하다.

현재 초등학생 이하의 아동들에게 가장 좋은 보상은

현물이나 먹을 것이 아니라

'유튜브 몇 시간 보게 해줄게~' 이다.

또한 이들은 본 걸 보고 또 본다는 특성도 있기 때문에

오래된 영상도 계속해서 조회수가 오른다는 말도안되는 일도 가능하다.

예시로, 유튜브 TOP10을 보면 과반수 이상이 저연령 층 타겟의 채널.

즉, 본인의 정신이 버틸수만 있다면 타겟층을 아래로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봄직 하다.

  1. 준비 과정

위의 과정이 모두 끝나 세부 계획까지 짜는데 성공했다면

제작을 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가보자.

(1) 콘티 그려보기

이 부분도 소재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유튜브 컨텐츠는 결국 영상이란 범주내에 있기 때문에

기승전결의 스토리가 필요하다.

만약 게임 플레이 녹화 영상이라 필요없다고 생각하겠지만, 편집을 가미하지 않으면 굉장히 심심할 수 밖에 없다.

①영상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 정하기

②대략적인 길이 정하기

③영상의 킬링파트 구상하기

④장면들을 어떻게 구상할 것인지 정하기

위의 요소들을 잘 생각하며 처음 부터 끝까지 30초 간격의 콘티를 대충 그려보자.

킬링파트 부분은 더 상세하게 그려도 됨. 어짜피 본인만 볼 것이기 때문에 뭐 잘그릴 필요는 없고 대충 슥삭 그리자

(2) 작업 능력 확보

위에 콘티에 따라 어떤 소프트웨어, 장비를 쓸 것인지 정확하게 정해놓자.

단순 영상 편집만으로 해결하는 영상이라면 프리미어, 베가스 정도로 될 것이고.

좀 더 테크닉이 필요하다면 애프터이펙트와 3D툴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점가서 프리미어 CC 무작정 따라하기 한 권 사서 마스터는 해주자.

툴도 알아서 구해놓자

촬영이 필요하다면, 솔직히 요즘은 휴대폰 카메라로도 무방하다. DSLR이나 캠코더가 있다면 더 좋긴함.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삼각대 정도는 꼭 구비하도록 하자.

녹음이 필요하다면, 저가형 마이크가 괜찮다.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따로 필요한 마이크말고

파워가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를 구매하자.

게임 영상을 찍고 싶다면 컴퓨터부터 사자.

배그 등의 고사양 게임은 투컴 스트리밍 환경을 요구한다. 방송 환경을 마련하려면 기본 300을 호가하니 돈이 없다면 알바해서 마련해보자 !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두 비교 사진의 키와 허리의 위치, 전반적인 비율을 살펴보면 키는 그대로 유지하되 


다리길이가 늘어나는 등 전반적인 비율이 좋아져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정사진에서 으례 찾아볼 수 있는 주위의 굴곡 역시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효과는 카메라의 렌즈굴곡에 따른 왜곡효과를 응용하여 연출할 수 있습니다.




Camera Raw Filter


포토샵에서는 DSLR에서 촬영한 무손실파일인 ‘RAW’ 확장자를 불러올 때, 자동으로 여러가지 설정을 한번에 만질 수 있는 ‘Camera Raw Filter’ 라는 플러그인을 제공합니다. 컬러 보정 / 노이즈 제거 / 렌즈 교정 등 거의 모든 이미지 보정작업을 여기에서 세팅하게되는데, 이번에는 그 중에서도 렌즈 교정 ( Lens Corrections ) 기능을 활용해보도록 합니다.




1. 사진 자르기




원본 사진입니다. 예쁘게 잘 찍혔지만 조금만 더 길었으면 좋겠습니다. 원래 내가 이렇게 짧은가싶기도 하고, 




사진가가 이상하게 찍은 것 같기도 합니다.더 나같은(?) 사진을 얻기 위해 먼저 해야 할 작업은 Crop을 이용하여 인물의 위치를 변경해주는 것 입니다.




Crop Tool을 이용하여 위 사진과 같이 인물을 전체적으로 사진 하단에 위치하게 두되, 


머리는 화면 가운데쪽으로, 다리 부분은 화면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붙여서 잘라줍니다.




2. Camera Raw Filter




[ Edit ] - [ Camera Raw Filter ]를 선택합니다. 다음과 같이 여러 옵션이 들어있는 새 창이 뜹니다. 종합적 보정을 위한 플러그인이므로, 여러 항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우측 아이콘들을 누르면 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그 중 6번째 아이콘, [ Lens Corrections ] 탭으로 들어갑니다








먼저 [ Distortion ] 항목을 조절합니다. 슬라이더를 움직이면 중앙을 기준으로 사진이 뭉쳐서 왜곡되거나, 반대로 바깥쪽으로 튀어나옵니다. 슬라이더로 크게 올려줍니다. 현재값 [ + 60 ]




[ Vertical ] 항목도 절반정도로 올려줍니다. 이 항목은 가로축을 기준으로 사진을 눕히거나 세워줍니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더를 올려줍니다. 현재값 [ + 31 ]




다음과 같이 사진이 안쪽으로 쪼그라들면서 다리부분이 길어지면 성공입니다. 확인을 눌러 빠져나옵니다.








3. 한번더 Crop 하기




처음에 사용했던 Crop Tool을 이용하여 가장자리에 왜곡된 부분을 잘라내주면 완성입니다.








결과 비교






자연스럽게 보정을 마쳤습니다. 키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머리크기 / 다리 길이를 보면 확실히 길어보이도록 




비율이 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진에도 적용해 본 모습입니다. 


이 스킬의 포인트는 전혀 주변 풍경의 왜곡없이 비율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값을 많이 주게 되면 환경이 왜곡되어 보일 수 있으므로 적당히 값을 조절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

포토샵의 가장 큰 장점은, 미술적인 복잡한 작업을 몇 번의 클릭을 통해 아주 쉽게 구현한다는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도 '손맛'을 내지는 못하지만, 이미 인간이 직접 하는 것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한 기능도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포토샵의 필터는 인위적인 느낌이 있기에 수작업과 컴퓨팅 작업이 구분되지만,




원하는 느낌을 쉽고 빠르게 표현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고, 그만의 매력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필터간의 연계, 필터와 다른 포토샵 내의 기능과의 시너지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아주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는 이 필터기능을 시작으로, 느낌 있는 인물사진 콜라주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터와 벡터 마스크 이용하여 인물 사진을 콜라주로 재구성하기




포토샵 필터 중, 간소화 기능이 있습니다(Cutout) 값에 따라 




그림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인데, 매우 유용합니다.








여기에 마스크와 레이어 블렌딩 옵션, 그라디언트 맵을 섞어 주면 위와 같이 느낌있는 작품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사진에 필터 씌우기






사진을 불러온 뒤, 곧바로 [Ctrl + J] 를 눌러 사진 레이어를 복제해서 사용하겠습니다.




사실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원본 사진을 사용할 일은 없습니다만, 필터를 적용할 때 실수가 있을 수 있으므로 미리 복제해 놓겠습니다.




필터를적용하기 전, 먼저 해야 할 작업이 있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자면, 필터를 이용해 사진을 5~6가지 색만 사용한 그림형태로  바꿀 예정입니다.




따라서 필터 적용 전, 경계의 구분을 확실하게 해 주기 위해 원본 사진의 대비를 높여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Image] - [Adjustments] - [Levels] 를 선택합니다.








위와 같은 창이 뜨면, 그래프 하단의 삼각형(▲) 슬라이드 3개를 움직여 대비를 높여줍니다.




방법은 양 끝에 있는 삼각형 2개를 안쪽으로 이동 - 가운데 삼각형은 살짝 왼쪽으로 이동시켜주면 됩니다.








요점은 "밝은 부분은 더 밝게" ,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만드는 것 입니다.




조정을 마치면, 이번엔 색상을 흑백으로 바꿔줍니다. [Image] - [Adjustments] - [Desaturate] 선택합니다.






[Filter] - [Filter Gallery] 를 선택합니다. 이번에 활용할 이펙트는 [Artistic] - [Cutout] 이펙트 입니다.




Cutout 이펙트는 보시는 바와 같이 사진을 소수의 색상만을 사용해 그림처럼 표현 해 주는 기능입니다.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Number of Levels : 사용할 색상의 수를 설정합니다 




Edge Simplicity : 가장자리를 얼마나 간소화하여 표현할 것인지 정합니다.




Edge Fidelity : 가장자리를 얼마나 원본과 비슷하게 표현할 것인지 정합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위의 그림과 비슷한 느낌으로 표현되도록 값을 조정해보시면 됩니다.




설정값 : Number of Levels - 5 / Edge Simplicity - 5 / Edge Fidelity - 3 (이 값은 고정값으로 3으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 몇몇 버전은 Filter - Artistic - Cutout 선택하면 동일한 창으로 이동됩니다.




Cutout 필터가 적용된 모습입니다.




2. 텍스쳐 입히기






나중에 마스크로 쓰일 그룹을 만들어줍니다.




방금 전, Number of Levels 의 설정값 만큼 그룹폴더를 만들어 줘야 합니다.  (현재 6) 




레이어 탭의 하단에 폴더 아이콘을 클릭하여 빈 그룹 6개를 만들어줍니다.






다시 레이어로 돌아와, 우측의 Magic Wand Tool(W) 을 선택합니다 




매직 완드는 레이어의 일정 부분을 클릭하면 그 부분과 같거나 비슷한 색의 영역을 모두 선택해주는 툴입니다.




원래는, 레이어 전체의 같은 색상을 선택하게 설정 되어 있는데,




Contiguous 옵션 활성화 하면 클릭한 인근의 같은 색만 선택합니다. 위쪽의 메뉴바에서 찾아서 체크해줍니다.




 Magic Wand Tool(W) 을 켠 상태로, 레이어의 일정 부분을 클릭 하면 다음과 같이 영역이 설정됩니다.




영역이 설정된 채로 바로 위에 있는 [그룹 폴더 중 하나를 선택] - 하단의[   모양 아이콘] 을 선택하여




벡터마스크를 생성해줍니다. 








제대로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아래 사진과 같은 모양으로 폴더 아이콘 옆에 벡터 마스크가 생성됩니다.






위 그림은 흰색 ~ 회색 ~검은색이 아까 설정한 6단계의 명도차이로 구분되어 나타나 있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비슷한 색상을 선택하여 이전 과정처럼 벡터 마스크를 생성해 줍니다.








주의할 점은 6개 그룹을 합쳐 본다고 생각했을 때, 인물의 영역 전체가 선택 되도록 만드는 것 입니다.




[Magic Wand Tool 선택] - [그룹마다 그에 따른 각각 벡터 마스크 생성] 을 반복하여 모든 그룹에 마스크를 할당해줍니다.








※ 본 예제에서는 눈과 눈썹, 입술 부분은 일부러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이제 남은 일은 사진을 추가해주는 것 입니다. 패턴 사진을 불러와서 그룹 안에 넣어주면 위 사진과 같이 




일정 부분만 패턴이 씌워집니다.






조금 더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하기 위해, [Layer Blending Option] 을 조절해줍니다.




Layers 탭 위쪽에 Normal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을 선택하면 옵션이 드롭다운메뉴로 나타납니다. 








보통 Overlay / Screen / Multiply 등이 적절하지만, 사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직접 하나씩 선택해보면서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레이어 Opacity 를 살짝 낮춰줍니다. 40~50% 정도로 설정하면  부드럽게 사진과 달라붙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유사한 톤이지만 모양이 다른 패턴들을 위와 같이 배치하면 효과적입니다.




패턴이 되는 레이어 크기가 마스크 영역 전체를 덮도록 설정해야 나중에 튀는 부분이 없습니다.




레이어 블렌딩 옵션과 투명도를 적절히 조정하여줍니다.






이와 같이 여섯개의 그룹에 각각 패턴 사진들을 씌우고, 블렌딩 옵션을 조절해주면 벌써 멋진 콜라주 사진이 나왔습니다.




3. 색상 입혀 완성하기




레이어의 가장 위쪽에 있는 그룹을 선택 한 뒤, 레이어 탭 하단의 [Adjustment Layer] - [Gradient Map] 을 생성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레이어 탭 하단의 버튼을 선택하면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아주 신기한 시너지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Gradient Map은 단순히 그라데이션을 씌워주는 것이 아니라,




검정색 - 흰색의 알파채널에 따른 색상값을 변경시켜준다는 점이 특이합니다.




그라디언트 맵 탭의 색상 바를 선택하여, 위의 창을 띄웁니다.




색상 바의 100% , 75%, 50%, 25%, 0% 위치에 색상 값을 지정하여 변경 해 주어야 합니다.




이 위치들을 기준으로 화면의 색상값들이 변화하게 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바 아래쪽을 클릭하면 색상 값을 설정 할 수 있는 스톱(Stop)이 생성됩니다.




하단의 (Stops) 탭에서 색과 위치를 조절 할 수 있으므로 3개의 스톱을 생성 한 뒤, (이미 2개는 생성되어 있습니다)








Color : 0b0746 / Location 100%




Color : b0a8ac / Location : 50%




Color : ffffea  / Location 0% 로 설정해줍니다.






Color : 090605 / Location 100%




Color : 690000 / Location 75%




Color : 637279 / Location 50%




Color : a8b7b0 / Location : 25%




Color : f4f9cf  / Location 0% 로 색상값을 변경한 모양입니다.








이와 같이 그라디언트 맵의 색상을 이용하여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 해 줄 수 있습니다.




화면 전체에 그라데이션이 일자로 씌워지는 것이 아니라 흑백의 밝기에 따라 색 값이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각 그룹에 레이어 그림자 효과를 줘 보았습니다. 마스크간의 경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와 같이 레이어에 효과를 주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베리에이션 할 수 있습니다.






완성입니다. 클릭하시면 큰 사이즈로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수작업이었다면 정말 어려웠을 것이




포토샵 필터와 이펙트를 이용하여 손쉽게 만들어집니다.








또한 Cutout 이펙트와, Gradient Map의 연계는 기억해두시면




종종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블로그 이미지

과일맛

,